100대 명산, 지역별로 몇 곳이나 될까?
산이 주는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2002년 10월에 산림청에서 지정한 '한국 100대 명산'. 산악 전문가들과 산악인들의 추천으로 선정된 100개의 명산은 생태적 가치는 물론 역사, 문화, 경관 등 모든 면에서 두루 우수함을 갖추고 있는 곳들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서울/경기 14곳, 강원도 22곳, 충청북도 5곳, 충청남도 5곳, 경상북도 17곳, 경상남도 14곳, 전라북도 12곳, 전라남도 10곳, 제주도 1곳으로 총 100곳이 선정됐습니다.
이 가운데 서울/경기 등 수도권에 위치한 14개의 100대 명산 리스트는 지난 포스팅을 통해 소개 드렸었죠. 대표적으로 경기도 5대 악산에 속하는 경기도의 설악 운악산, 감악산, 화악산, 관악산이 있고, 주말이면 발 디딜 틈 없는 인기 명산 북한산, 도봉산도 100대 명산에 포함됩니다. 수도권에 위치한 100대 명산 14곳의 리스트는 지난 포스팅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에 위치한 100대명산 리스트
수도권에 이어 오늘은 강원도에 위치한 100대 명산 리스트를 알아보겠습니다. 강원도에 위치한 산 가운데 명산으로 지정된 산은 총 22곳입니다. 100대 명산 리스트에 등재된 번호 순으로 정리했고, 산림청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100대 명산 선정 이유도 함께 소개합니다.
강원도 명산 리스트에는 100대 명산 '1번'으로 지정된 가리산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강원도 홍천과 춘천에 걸쳐 있는 가리산은 우리나라 산의 전형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는 곳입니다. 참나무가 주가 되는 울창한 산림, 부드러운 산줄기에 더하여 봄철 강원도에서 진달래가 가장 많이 피는 산이라고 합니다. 정상에 오르면 소양호를 조망할 수 있고, 야생화가 많이 서식하여 98년에 강원도에서 자연휴양림으로 지정한 곳이기도 하다고 합니다. 저는 아직 가리산을 가본 적이 없어서 어떤 곳인지 궁금해집니다.
No. | 산 이름 | 높이(m) | 소재지 | 선정이유 |
1 | 가리산 | 1050.9 |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ㆍ화촌면, 춘천시 북산면ㆍ동면 |
강원도에서 진달래가 가장 많이 피는 산으로 알려져 있고, 참나무 중심의 울창한 산림과 부드러운 산줄기 등 우리나라 산의 전형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으며, 홍천강의 발원지 및 소양강의 수원(水源)을 이루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암봉이 솟아있는 정상에서 소양호를 조망할 수 있고, 야생화가 많이 서식하여 자연학습관찰에도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음. '98년 강원도에서 자연휴양림으로 지 |
2 | 가리왕산 | 1561.9 | 강원도 정선군 북평면ㆍ 정선읍 회동리, 평창군 진부면 |
가리왕산 8경이 전해질 만큼 경관이 수려하고, 활엽수 극상림이 분포해 있으며, 전국적인 산나물 자생지로 유명. 특히 백두대간의 중심으로 주목군락지가 있어 산림유전자원보호림과 자연휴양림으로 지정되는 등 경관·생태적으로 가치가 큰 점에서 선정 동강(東江)에 흘러드는 오대천과 조양강의 발원지이며 석회암 절리동굴인 얼음동굴이 유명. 산의 이름은 그 모습이 큰 가리(벼나 나무를 쌓은 더미)같다고 하여 유래 |
8 | 계방산 | 1579.1 | 강원도 홍천군 내면, 평창군 용편면ㆍ진부면 |
남한에서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산으로서 산약초·야생화 등이 많이 서식하고, 희귀수목인 주목·철쭉나무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어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백두대간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으며 겨울철 설경이 백미. 우리나라에서 자동차로 오를 수 있는 고개 중 가장 높은 운두령이 있으며 내린천(內麟川)으로 흐르는 계방천의 발원지임 |
9 | 공작산 | 887.4 | 강원도 홍천군 동면, 화촌면 | 울창한 산림과 수타계곡 등 경관이 수려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산의 형세가 마치 한 마리의 공작이 날개를 펼친 듯하다는데서 산 이름이 유래. 보물 제745호인 월인석보 제17권과 18권이 보존되어 있는 수타사(壽陀寺)와 수타사에서 노천리에 이르는 20리계곡인 수타계곡이 특히 유명 |
21 | 대암산 | 1312.6 | 강원도 양구군 동면, 인제군 서화면 |
휴전선이 가까운 지역으로 각종 희귀생물과 원시림에 가까운 숲이 잘 보존되어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246호)으로 지정(1973년) 관리되는 등 우리나라 최대 희귀생물자원의 보고인 점 등을 감안하여 선정 대암산 정상부에 있는 약 9,000여평이 넘는 풀밭 같은 넓은 초원에 큰 용늪과 작은용늪의 고층습지가 있음. 그 주위가 마치 화채(punch) 그릇(bowl)같아 펀치볼로 불리우며 해안분지(亥安盆地)가 유명 |
25 | 덕항산 | 1072.9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태백시 하사미동 |
전형적인 경동지괴(傾動地塊) 지형으로 기암절벽과 초원이 어우러져 있으며 갈매굴, 제암풍혈, 양터목세굴, 덕발세굴, 큰재세굴 등 석회동굴이 많이 소재하고, 대이동굴 군립공원(1996년 지정) 구역내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약 4∼5억년 전에 이루어진 길이 6.9㎞, 천장높이 30m에 이르는 동양최대의 동굴인 환선굴(幻仙窟 : 천연기념물 제178호)이 유명 |
29 | 두타산 | 1357 |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 삼척시 미로면ㆍ하장면 |
무릉계곡 등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삼화사(三和寺), 관음암(觀音庵), 두타산성(頭陀山城)이 있음. 바위에 50여개의 크고 작은 구멍이 패여 산이름이 붙여졌으며, 예로부터 기우제를 지내는 등 토속신앙의 기도처인 쉰움산(五十井山)이 유명 |
32 | 명성산 | 922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ㆍ이동면 |
도평천(都坪川), 영평천(永平川), 한탄강의 수계를 이루며, 산세가 가파르고 곳곳에 바위가 어우러져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산 북쪽으로 삼부연폭포와 남쪽으로 산정호수를 끼고 있음. 전설에 의하면 왕건(王建)에게 쫓기던 궁예(弓裔)가 피살되었던 곳으로 유명 |
40 | 방태산 | 1445.7 |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ㆍ상남면, 홍천군 내면 |
가칠봉(1,241m), 응복산(1,156m), 구룡덕봉(1,388m), 주걱봉(1,444m) 등 고산준봉을 거느리고 있으며 한국에서 가장 큰 자연림이라고 할 정도로 나무들이 울창하고, 희귀식물과 희귀어종이 많은 생태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 정감록에는 난을 피해 숨을만한 피난처로 기록되어 있음. 자연휴양림이 있으며, 높이 10m의 이폭포와 3m의 저폭포가 있는 적가리골 및 방동약수, 개인약수 등이 유명 |
41 | 백덕산 | 1350.1 | 강원도 평창군 방림면, 횡성군 안흥면, 영월군 수주면 |
사자산(1120m), 사갓봉(1020m), 솟때봉(884m) 등이 솟아 있어 산세가 웅장하고 골이 깊은 등 경관이 좋으며, 평창강(平昌江)과 주천강(酒泉江)의 수계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신라 때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법흥사(法興寺)와 경내에 있는 보물 제613호로 지정된 징효대사보인탑이 유명 |
45 | 백운산(정선) | 883.5 |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평창군 미탄면 |
동강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어 경관이 아름답고, 조망이 좋으며 생태계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흰구름이 늘 끼어 있는데서 산 이름이 유래, 오대산에서 발원하는 오대천과 조양강(朝陽江)을 모아 남한강으로 흐르는 동강 및 천연기념물 제260호로 지정(1979년)된 백룡동굴(白龍洞窟)이 유명 |
49 | 삼악산 | 655.8 | 강원도 춘천시 서면 | 고고시대에 형성된 등선계곡과 맥국시대의 산성터가 있는 유서깊은 산으로 기암괴석의 경관이 아름답고, 의암호와 북한강을 굽어보는 조망이 좋은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남쪽 골짜기 초입의 협곡과 등선폭포(登仙瀑布)가 특히 유명하고, 흥국사(興國寺), 금선사(金仙寺), 상원사(上院寺) 등 7개 사찰이 있음. |
52 | 설악산 | 1708.1 |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인제군 북면ㆍ인제읍, 양양군 서면ㆍ강현면 |
남한에서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인 한계령, 마등령, 미시령 등 수많은 고개와 산줄기·계곡들이 어우러져 한국을 대표하는 산악미의 극치를 이루고 있으며, 국립공원(1970년 지정) 및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존지역으로 지정(1982년)되어 관리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백담사(百潭寺), 봉정암(鳳頂菴), 신흥사(新興寺), 계조암(繼祖菴), 오세암(五歲庵), 흔들바위, 토왕성폭포, 대승폭포 등이 특히 유명 |
59 | 오대산 | 1565.4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홍천군 내면, 강릉시 연곡면 |
국내 제일의 산림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경관이 수려하여 국립공원으로 지정(1975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연꽃모양으로 둘러선 다섯 개의 봉우리가 모두 모나지 않고 평평한 대지를 이루고 있는데서 산이름이 유래. 월정사(月精寺), 적멸보궁(寂滅寶宮), 상원사(上院寺)가 있음. 골짜기마다 사찰, 암자 등 많은 불교유적이 산재해 있는 등 우리나라 최고의 불교 성지로 유명 |
60 | 오봉산 | 777.9 |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화천군 간동면 |
산세는 크지 않으나 바위와 수목이 어우러진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다섯 개의 바위 봉이 연이어 솟아있는 데서 산이름이 유래. 신라때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청평사(淸平寺)와 구성폭포가 유명. 청평사 경내에 있는 보물 제164호인 회전문이 유명 |
62 | 용화산 | 877.8 |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ㆍ하남면, 춘천시 사북면 |
파로호, 춘천호, 소양호 등과 연접해 있으며 산림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경관이 아름다우며 조망이 좋은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성불사터가 있으며 광바위, 주전자바위, 바둑바위 등 갖가지 전설을 간직한 실물을 닮은 바위가 유명 |
69 | 응봉산 | 999.7 |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ㆍ원덕읍,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
아름다운 여러 계곡들을 끼고 있어 계곡탐험코스로 적합하며, 산림이 울창하고 천연노천온천인 덕구온천과 용소골의 폭포와 소가 많은 등 경관이 아름다운 점을 고려하여 선정 울진조씨가 매사냥을 하다가 잃어버린 매를 이 산에서 찾고는 산 이름을 응봉이라 한 뒤 근처에 부모의 묘자리를 쓰자 집안이 번성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음. 정상에서 멀리 백암산·통고산·함백산·태백산을 조망할 수 있는 곳으로 유명 |
73 | 점봉산 | 1426 | 강원도 양양군 서면, 인제군 인제읍ㆍ기린면 |
원시림이 울창하고 모데미풀 등이 자생하는 등 생태적 가치가 커 유네스코에서 생물권보존구역으로 지정하고,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관리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특히 제1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보전되어야 할 숲으로 선정. 12담 구곡으로 불리는 오색약수터 및 주전골 성국사터에 있는 보물 제497호인 양양 오색리 삼층석탑이 있음 |
86 | 치악산 | 1282 | 강원도 원주시, 횡성군, 영월군 |
주봉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남대봉 (1,181m)과 매화산(1,085m) 등 1천여 미터의 고봉들이 연이어 있어 경관이 아름다우며 곳곳에 산성과 사찰, 사적지들이 널리 산재해 있고 국립공원으로 지정(1984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구룡계곡, 부곡계곡, 금대계곡 등과 신선대, 구룡소, 세렴폭포, 상원사 등이 있음. 사계절별로 봄 진달래와 철쭉, 여름 구룡사의 울창한 숲과 깨끗한 물, 가을의 단풍, 겨울 설경이 유명 |
88 | 태백산 | 1566.7 | 강원도 태백시,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
예로부터 삼한의 명산이라 불리웠으며 산 정상에는 고산 식물이 자생하고 겨울 흰 눈으로 덮인 주목군락의 설경 등 경관이 뛰어나며 도립공원으로 지정(1989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삼국사기에 따르면 산 정상에 있는 천제단에서 왕이 친히 천제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음. 망경사, 백단사 등이 유명 |
89 | 태화산 | 1027.5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
경관이 아름답고 고구려 시대에 쌓았던 토성인 태화산성 등 역사적 유적이 있고, 고씨동굴(高氏洞窟 : 천연기념물 제219호) 등이 소재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
91 | 팔봉산 | 328.2 | 강원도 홍천군 서면 | 산은 나지막하고 규모도 작으나 여덟개의 바위봉이 팔짱 낀 8형제처럼 이여져 있고 홍천강과 연접하여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있음 |
최근 다녀온 명성산, 설악산도 100대 명산에 포함되어 있었네요. 결혼 전에 부모님과 눈 오는 태백산에 다녀온 적이 있었는데 그때 본 장관을 아직까지 잊지 못합니다. 조만간 한 번 더 다녀오고 싶은 곳이기도 합니다. 오대산, 치악산 등 강원도에 위치한 100대 명산도 내년 버킷 리스트에 찜 해놔야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한국 100대 명산, 충청도의 명산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 주세요.
댓글